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내주변 돌아보기/고향여행 故鄕旅行30

김해김씨 시조 할머니 - 허황옥 허왕후 묘 "보주태후허씨릉"구산동 소재  서기 48년에 가야국의 시조 김수로왕에게 시집온 허황옥(許黃玉, 32~189)의 고향은 과연 어디일까? 지금까지 알려진 대로 인도 북부 갠지스강 중류의 아요디야(Ayodhya)가 아니라 남동부 해안의 같은 이름을 가진 아요디야 쿠빰(Ayodhya Kuppam)일 가능성이 더욱 높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 허왕후가 “나는 인도 아유타국(阿踰陀國) 출신의 공주”라고 말한 바에 따라, 그동안 많은 학자들이 아유타국의 뿌리를 찾아왔고, 결국 인도 최대 주인 우타르프라데시(Uttar Pradesh)주의 아요디야를 허왕후의 출신지로 확정하게 되었다. 이는 아유타와 발음이 유사한 지명 가운데 아요디야가 가장 흡사했기 때문이다. 아요디야는 ‘싸움이 .. 2024. 9. 20.
성씨의 종류와 유래 1486年(朝鮮 成宗 17年) 《東國輿地勝覽(동국여지승람)》에는 277개의 姓氏가 記錄되었고, 1766年(英祖 42年) 《陶谷叢說(도곡총설)》에는 298개, 1908年 《增補文獻備考(증보문헌비고)》에는 496개, 1960年 大韓民國 國勢調査에서는 258개의 姓氏가 나타났다. 2015年 大韓民國 統計廳의 人口住宅總調査 結果에서는 外國에서 歸化한 姓氏까지 包含하여 5,582개의 姓氏가 있는 것으로 調査되었다. 이 중 漢字로 表記할 수 있는 姓氏는 1,507개이며, 漢字가 없는 姓氏는 4,075개로 調査되었다. 韓國의 姓氏는 本貫(본관)에 따라 區分되며, 本貫別 姓氏는 2000年 4,179개에서 2015年 36,744개로 增加하였다. 人口 1,000名 以上인 本貫은 858개로, 이는 全體 人口의 97.8%를 .. 2024. 9. 18.
고지명의 현재 지명 가리(加利)(李)-성주(星州) 속지(屬地)가산(嘉山)(李)-박천(博川) 속지가은(加恩)(邊)-문경(聞慶) 속면(屬面)가조(加祚)(史)-거창(居昌) 속면가주(嘉州)(韓)-가산(嘉山) 별호(別號)가화(嘉禾)(騫)-송화(松禾) 지방(地方)가흥(嘉興)(曺)-진도(珍島) 속현감천(甘泉)(文)-안동(安東) 속지강동(江東((金)-평안(平安) 군명(郡名)강령(康翎)(康)-옹진(甕津) 속지강양(江陽)(李)-합천(陜川) 별호(舊號)강음(江陰)(段)-금천(金川) 속지강주(剛州)(禹)-영주(榮州) 별호개령(開寧)(金)-금릉(金陵) 속면거야(巨野))(郭)-금구(金溝) 지방거평(居平)(司空)-나주(羅州) 속지건자산(巾子山)(皇甫)-고양(高陽) 지방견주(見州)(金)-양주(楊州) 속지결성(結城)(李)-홍성(洪城) 속면경산(京山)(李.. 2024. 8. 20.
보첩의 의미 1. 시조(始祖), 비조(鼻祖), 중조(中祖)  시조(始祖)란 득성(得姓 : 성자를 처음 갖게 됨) 또는 개관(改貫 : 관향을 고쳐서 새로 정함)의 초대(初代), 즉 시초(始初)의 선조(先祖)를 말한다. 비조(鼻祖)라 함은 시조(始祖) 이전(以前)의 선계조상(先系祖上 : 개관이전의 선대조상)을 말하며 또는 시조(始祖)나 중시조(中始祖) 등을 높여서 비조(鼻祖)라 부르기도 한다. 중조(中祖)는 시조 이하 계대(系代)에서 가문(家門)을 중흥(中興)시킨 선조(先祖)를 종중(宗中)의 공론(公論)에 의하여 추존(追尊)하여 부르는 선조(先祖)이다.2. 선계(先系)와 세계(世系) 선계(先系)란 시조 이전(始祖以前) 또는 중시조 이전의 선대조상(先代祖上)을 일컫는 말이며 세계(世系)란 시조나 파조(派祖)로부터 대대로 .. 2024. 8. 20.
제례법 ※ 제사상 차리는법제수는 곧 제찬(祭饌)이라고도 하는데, 각 가문의 형편에 따라 다르고 각 지방의 관습에 따라 다른 점이 있다.다만 제수의 많고 적음보다는 그 정성에 치중하여 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그러나 옛날부터 우리 조상들이 지켜온 제수의 격식이 있으므로 그에 준해야 한다.     ※ 제상  진설의 원칙좌포우혜(左脯右醯)좌측에 포  우측에 혜어동육서(魚東肉西)동쪽에는 어류  서쪽에는 육류동두서미(頭東西尾)생선의 머리가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방향으로 놓을것홍동백서(紅東白西)붉은색은 동편으로  흰색은 서편으로조율이시(棗栗梨枾)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놓는다(배와 감을 바꾸는 경우도 있다)동쪽은 제관의 우측,  서쪽은 제관의 좌측을 말한다  ※ 제사음식과  기본상식* 복숭아와  꽁치 참치 갈치 등 치.. 2024. 8. 20.
간지연대표 간지연대표간지(干支)연   도(年度)甲子(갑자)1984192418641804174416841624乙丑(을축)1985192518651805174516851625丙寅(병인)1986192618661806174616861626丁卯(정묘)1987192718671807174716871627戊辰(무진)1988192818681808174816881628己巳(기사)1989192918691809174916891629庚午(경오)1990193018701810175016901630辛未(신미)1991193118711811175116911631壬申(임신)1992193218721812175216921632癸酉(계유)1993193318731813175316931633甲戌(갑술)1994193418741814175416941634乙亥(을.. 2024. 8. 20.
족보 族譜 일족(一族)의 계보(系譜)를 기록한 가계보(家系譜). 중국 후한(後漢)시대에 왕실의 계보를 기록한 것이 그 시초이다. 한국에서도 고려시대부터 편찬되었다고 하는데,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족보로서는 1476년에 발간된 안동권씨(安東權氏)의 성화보(成化譜)가 있다.  한국에서 족보의 발생은 벌족(閥族)의 세력이 서로 대치하고, 동성일족(同姓一族)의 관념도 매우 뚜렷하게 된 이후의 일이며, 족보 간행을 촉진시킨 요인은     ① 동성불혼(同姓不婚)과 계급내혼제(階級內婚制)의 강화    ② 소목질서(昭穆秩序) 및 존비구별(尊卑區別)의 명확화    ③ 적서(嫡庶)의 구분    ④ 친소(親疏)의 구분    ⑤ 당파별(黨派別)의 명확화 등이었다. 족보에는 편찬할 때의 서문(序文)과 선조(先祖),현조(顯祖)의 사적(事.. 2024. 8. 20.
본관 本貫 시조(始祖)의 출신지. 관향(貫鄕),관적(貫籍),씨관(氏貫),선향(先鄕)이라고도 한다. 한국에서는 성(姓)의 종류가 적어 성을 가지고 동족을 구별할 수 없었기 때문에 조상의 출신지에 성을 붙여서 동족임을 표시하였다. 성씨와 본관제도는 계급적 우월성과 신분을 나타냈으므로 왕실,귀족,일반지배계급,양민,천민의 순으로 정착되었다. 중국은 황제(黃帝) 이래 역대의 제왕이 봉후(封侯) 건국할 때, 출생과 동시에 성을 주고 채지(采地)를 봉해 씨(氏)를 명명해 준 데서 성씨는 계속 분화되었다. 진(秦),한(漢)나라 이후 위(魏)나라 때 9품중정법(九品中正法)의 실시로 문벌귀족사회가 확립됨에 따라 성의 지벌(地閥)을 나타내는 군망(郡望)이 형성되어 갔고, 수(隋)·당(唐)나라 시대에는 군성(郡姓),주성(州姓)이 있었다.. 2024. 8. 20.
김해김씨 사군파 대성지 (영암) 김해김씨는 본래 가락김씨 김(金)씨는 문헌에 623본까지 나타나나 2000년 조사에서는 350여 본이 현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중에서 시조가 뚜렷한 것은 100본 정도인 것으로 보인다. 그 중에서 우리나라 최대 성관(姓貫)인 김해김씨에는 세 계통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김해김씨라 하면 가야계(김수로왕계)를 말하며, 그외 사성 김해김씨가 있고, 신라계(김알지계) 김해김씨가 있다. 그 중에서 이번에는 가야계 김씨인 김수로왕의 후손 김해김씨에 대해서 알아본다.잘 알려진대로 김해김씨의 시조는 금관가야의 시조왕 김수로로, 김해김씨는 본래 가락김씨라 하였는데, 조선시대에 김해김씨로 개칭하였다.김수로의 탄생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화가 있다. 많이 알려진 설화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나오는 설화로, 서기 42년.. 2024. 8. 20.
728x90
반응형